주관부서 :
대전광역시 정책기획관, 분야별 실국 주무과, 일자리경제정책과, 창업진흥과, 재해예방과
모니터링 :
과제 8-1. 전반적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
지표 8-1-1. 대전 실질 GRDP 성장률 (경제성장률)
- 대전시의 실질 GRDP 성장률은 2021년 3.1%에서 2022년 4.50%로 상승
- 대전시의 실질 GRDP 성장률은 2022년 기준 전국 2.60%보다 1.9%p 높으며, 이는 인천(6%) 다음으로 높은 수치임
과제 8-2. 시민의 지역경제 참여를 확대하고 고용안정성을 증대한다.
지표 8-2-1. 상용근로자 비율
- 대전시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 비율은 2021년 72.3%에서 2023년 77.4%로 5.1%p 지속 상승하였음
(대전시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수 임금근로자 643천명, 상용근로자 498천명 , 상용근로자 비율 77.4% 2023년 기준)
과제 8-3. 대전 내 중소기업 성장을 촉진한다.
지표 8-3-1. 혁신형 중소기업 수
- 2022년 기준 대전광역시의 혁신형 중소기업은 1,998개 업체이며,
- 수도권 제외 4개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울산)의 혁신형 중소기업 수 평균(1,946개 업체) 대비 많음
- 수도권(서울 15,094개 업체, 경기 19,162개 업체, 인천 3,298개 업체)에 대비하여는 적은 수를 나타내고 있음
과제 8-4.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안전하고 건강한 근로 환경을 조성한다.
지표 8-4-1. 노동인권교육 및 무료 법률 상담 인원수
- 대전시 노동권익센터에서 진행하는 노동인권 교육 및 법률상담은 2021년 14,190명에서 2023년 16,239명으로 등락을 거쳐 증가하였음
지표 8-4-2. 전체재해율
- 대전의 전체 재해율은 2016년 이후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로 2016년 0.50에서 2022년 0.67로 0.17 상승함
- 2022년 기준 대전의 재해율을 다른 지역과 비교하면 서울(0.38), 제주(0.6), 부산·세종·충남(0.67), 경북(0.66)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나 전국 평균인 0.65보다는 높게 측정됨
지표 8-4-3. 사고사망만인율
- 대전 사망재해 만인율은 2022년 0.69을 기록하였고 2018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이나 2016~2017년보다는 높은 수치임
- 2022년 기준 사망재해 만인율을 비교해 보면 대전은 세종(0.33), 제주(0.55), 서울(0.58) 다음으로 사망재해 만인율이 낮은 지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