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지속가능발전목표(D-SDGs)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
목표1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
목표2
건강하고 행복한 삶
목표3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
목표4
성평등 보장
목표5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목표6
애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목표7
좋은 일자리 확대와 경제성장
목표8
산업혁신과 사회기반시설 확충
목표9
모든 종류의 불평등 해소
목표10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목표11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목표12
기후변화 대응
목표13
해양생태계 보전
목표14
육상생태계 보전
목표15
인권·정의·평화
목표16
지구촌 협력확대
목표17
목표 08
지역경제의 성장과 안전성 증대
지역경제의 성장과 안전성 증대
추진과제성과지표지표산식기준값모니터링
결과
8-1전반적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8-1-1대전 실질 GRDP 성장률 (경제성장률)현재 실질GRDP/전년도 실질GRDP 증가율4.5% (2022)
8-2시민의 지역경제 참여를 확대하고 고용안정성을 증대한다.8-2-1상용근로자 비율상용근로자수 / 임금근로자 수×10077.4% (2023)
8-3대전 내 중소기업 성장을 촉진한다.8-3-1혁신형 중소기업 수벤처, 이노비즈, 메인비즈 인증을 획득한 기업 수를 합산(중복 인증한 기업 수는 차감)1,998개 (2022)
8-4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안전하고 건강한 근로 환경을 조성한다.8-4-1취약계층 노동자 권익 증진 실적노동인권교육 및 무료 법률상담 인원 수 (일자리경제과 내부자료)16,239 (23년)
8-4-2전체재해율재해근로자 / 대전시 전체 근로자0.67% (2022)
8-4-3사고사망만인율대전시 사망자재해자수 / 대전시 근로자수 x10,0000.69
실천과제 :
지역자원을 활용한 일자리를 확대해야 합니다.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정책을 지원해야 합니다.
지역사례 :
협력해요 :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경실련, 대화동근로자종합복지회관,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등
목표 8을 달성하기 위한 단체·기관을 추천해주세요.
주관부서 :
대전광역시 정책기획관, 분야별 실국 주무과, 일자리경제정책과, 창업진흥과, 재해예방과
모니터링 :
과제 8-1. 전반적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
지표 8-1-1. 대전 실질 GRDP 성장률 (경제성장률)
- 대전시의 실질 GRDP 성장률은 2021년 3.1%에서 2022년 4.50%로 상승
- 대전시의 실질 GRDP 성장률은 2022년 기준 전국 2.60%보다 1.9%p 높으며, 이는 인천(6%) 다음으로 높은 수치임

과제 8-2. 시민의 지역경제 참여를 확대하고 고용안정성을 증대한다.
지표 8-2-1. 상용근로자 비율
- 대전시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 비율은 2021년 72.3%에서 2023년 77.4%로 5.1%p 지속 상승하였음
(대전시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수 임금근로자 643천명, 상용근로자 498천명 , 상용근로자 비율 77.4% 2023년 기준)

과제 8-3. 대전 내 중소기업 성장을 촉진한다.
지표 8-3-1. 혁신형 중소기업 수
- 2022년 기준 대전광역시의 혁신형 중소기업은 1,998개 업체이며,
- 수도권 제외 4개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울산)의 혁신형 중소기업 수 평균(1,946개 업체) 대비 많음
- 수도권(서울 15,094개 업체, 경기 19,162개 업체, 인천 3,298개 업체)에 대비하여는 적은 수를 나타내고 있음

과제 8-4.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안전하고 건강한 근로 환경을 조성한다.
지표 8-4-1. 노동인권교육 및 무료 법률 상담 인원수
- 대전시 노동권익센터에서 진행하는 노동인권 교육 및 법률상담은 2021년 14,190명에서 2023년 16,239명으로 등락을 거쳐 증가하였음

지표 8-4-2. 전체재해율
- 대전의 전체 재해율은 2016년 이후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로 2016년 0.50에서 2022년 0.67로 0.17 상승함
- 2022년 기준 대전의 재해율을 다른 지역과 비교하면 서울(0.38), 제주(0.6), 부산·세종·충남(0.67), 경북(0.66)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나 전국 평균인 0.65보다는 높게 측정됨

지표 8-4-3. 사고사망만인율
- 대전 사망재해 만인율은 2022년 0.69을 기록하였고 2018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이나 2016~2017년보다는 높은 수치임
- 2022년 기준 사망재해 만인율을 비교해 보면 대전은 세종(0.33), 제주(0.55), 서울(0.58) 다음으로 사망재해 만인율이 낮은 지역임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로고
34837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121번길 44, 202호 (선화동, 창성빌딩)
전화042-256-2464~5
팩스042-256-2466
ⓒ2020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