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지속가능발전목표(D-SDGs)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
목표1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
목표2
건강하고 행복한 삶
목표3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
목표4
성평등 보장
목표5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목표6
애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목표7
좋은 일자리 확대와 경제성장
목표8
산업혁신과 사회기반시설 확충
목표9
모든 종류의 불평등 해소
목표10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목표11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목표12
기후변화 대응
목표13
해양생태계 보전
목표14
육상생태계 보전
목표15
인권·정의·평화
목표16
지구촌 협력확대
목표17
목표 07
에너지의 친환경적 이용과 오염 최소화
에너지의 친환경적 이용과 오염 최소화
추진과제성과지표지표산식기준값모니터링
결과
7-1청정에너지 공급을 증대한다.7-1-1전체 에너지 소비량 대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신·재생에너지 생산량/전체에너지 소비량3.5% (2021)
7-2에너지를 절약하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7-2-1에너지다소비사업자 신고업체 당 에너지 절약 실적에너지절약실적/에너지다소비사업제 신고업체48.65(toe) (2022)
7-3운송분야 에너지소비로 인한 대기오염 최소화 한다.7-3-1전체 자동차 등록대수 대비 친환경차 비율친환경차 수/대전시 전체 등록 자동차수8.34% (2024)
실천과제 :
공공시설(동사무소, 학교, 도서관 등)에 재생에너지를 확대해야 합니다.
지역사례 :
대전에너지전환네트워크 시민워크숍
RE100(Renewable Energy)시민클럽
목표 7을 달성하기 위한 실천사례를 추천해주세요.
협력해요 :
대전탄소중립지원센터, 한국에너지공단 대전충남지역본부, 대전에너지전환네트워크, 불휘햇빛발전협동조합, 에너지전환해유 사회적협동조합 등
목표 7을 달성하기 위한 단체·기관을 추천해주세요.
주관부서 :
대전광역시 에너지정책과, 대기환경과
모니터링 :
과제 7-1. 청정에너지 공급을 증대한다.
지표 7-1-1. 전체 에너지 소비량 대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 대전시의 전체 에너지 소비량 대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은 2016년 3.2% 2021년 3.5%로 상승함
- 2022년 대전시의 전체 에너지 소비량 대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전국과 비교해 보면, 전국은 5.9%인데 반해 2.4% 낮은 수치를 나타냄

과제 7-2. 에너지를 절약하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지표 7-2-1. 에너지다소비사업자 신고업체 당 에너지 절약 실적
- 대전시의 에너지다소비사업자 신고업체 당 에너지 절약실적(toe)은변동성이 큰 지표로 2016년 161.05(toe)에서 2022년 48.65(toe)로 크게 감소
- 대전시의 에너지다소비사업자 신고업체 당 에너지 절약실적(toe)을 전국 평균인 387.88(toe)에 비해 많이 낮은 편이며, 서울(56.96 toe) 다음으로 낮은 수치임

과제 7-3. 운송분야 에너지소비로 인한 대기오염 최소화 한다.
지표 7-3-1.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 대비 친환경차 비율
- 대전시의 친환경차 비율은 2024년 8.34%로 나타남
- 친환경차에 대한 공급 및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대전시의 친환경차 등록 비율은 자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로고
34837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121번길 44, 202호 (선화동, 창성빌딩)
전화042-256-2464~5
팩스042-256-2466
ⓒ2020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