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지속가능발전목표(D-SDGs)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
목표1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
목표2
건강하고 행복한 삶
목표3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
목표4
성평등 보장
목표5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목표6
애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목표7
좋은 일자리 확대와 경제성장
목표8
산업혁신과 사회기반시설 확충
목표9
모든 종류의 불평등 해소
목표10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목표11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목표12
기후변화 대응
목표13
해양생태계 보전
목표14
육상생태계 보전
목표15
인권·정의·평화
목표16
지구촌 협력확대
목표17
목표 06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추진과제성과지표지표산식기준값모니터링
결과
6-1대전시민에게 안전한 식수를 공급한다.6-1-1먹는 물 수질검사율[{먹는물공동시설 수질검사 실적(개소수×회수)} + {유통중인 먹는샘물 수거검사 실적(시료수)}] / [{먹는물공동시설 수질검사계획(개소수×회수)} + {유통중인 먹는샘물 수거검사 계획(시료수)}] × 100(%)101% (2023)
6-2수자원의 재이용으로 효율적 물관리를 도모한다.6-2-1공공하수처리수 재이용률대전시 하수처리수 장내 재이용률4.8% (2023)
실천과제 :
3대 하천을 잘 관리하고 보호해야 합니다.
지역사례 :
3대 하천 살리기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워크숍
목표 6을 달성하기 위한 실천사례를 추천해주세요.
협력해요 :
금강환경유역회의, 대전환경운동연합, 대전충남녹색연합, 대청호보전운동본부, 대전충남시민환경연구소 등
목표 6을 달성하기 위한 단체·기관을 추천해주세요.
주관부서 :
대전광역시 생태하천과, 수질개선과
모니터링 :
과제 6-1. 대전시민에게 안전한 식수를 공급한다.
지표 6-1-1. 먹는 물 수질검사율
- 현재 먹는 샘물 수질검사는 대전지역 대형마트,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먹는샘물 중심으로 진행
- 대전시의 먹는 물 수질검사율은 2021년 101.3%, 2022년 101.9%, 2023년 101.8%로 검사 계획보다 더 많은 실적을 나타냄

과제 6-2. 수자원의 재이용으로 효율적 물관리를 도모한다.
지표 6-2-1. 공공하수처리수 재이용률
- 대전시의 공공하수처리수 재이용률은 2016년 4.2%에서 2023년 4.8%로 증가
- 타시도와 대전시의 공공하수처리수 재이용률을 비교하면, 전국 평균 15.4%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며 제주(1.8%) 다음으로 가장 낮음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로고
34837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121번길 44, 202호 (선화동, 창성빌딩)
전화042-256-2464~5
팩스042-256-2466
ⓒ2020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