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지속가능발전목표(D-SDGs)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
목표1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
목표2
건강하고 행복한 삶
목표3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
목표4
성평등 보장
목표5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목표6
애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목표7
좋은 일자리 확대와 경제성장
목표8
산업혁신과 사회기반시설 확충
목표9
모든 종류의 불평등 해소
목표10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목표11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목표12
기후변화 대응
목표13
해양생태계 보전
목표14
육상생태계 보전
목표15
인권·정의·평화
목표16
지구촌 협력확대
목표17
목표 05
성평등 보장
성평등 보장
추진과제성과지표지표산식기준값모니터링
결과
5-1모든 영역에서의 성폭력을 방지한다.5-1-1인구 10만 명에 대한 성폭력 발생비성폭력 발생건수 / 대전시 주민등록인구 x 100,00095.98 (2022)
5-2정치 · 경제 · 공공영역에서 여성의 참여와 평등한 기회를 보장한다.5-2-1대전 지자체 소속 위원회 여성 비율지자체 소속 위원회 여성위원 수 / 지자체 소속 전체 위원수46.9% (2022)
5-2-2관리직 5급 이상 자치단체 공무원 중 여성 비율대전시 관리직 5급이상 여성 공무원 / 대전시 관리직 5급이상 공무원30.2% (2022)
실천과제 :
지역의 여성리더를 양성해야 합니다.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성평등 교육을 강화해야 합니다.
협력해요 :
대전여민회, 대전YWCA, 대전여성장애인연대, 여성정치네트워크, 대전여성단체협의회, 대전여성단체연합 등
목표 5을 달성하기 위한 단체·기관을 추천해주세요.
주관부서 :
대전광역시 여성가족청소년과, 인사혁신담당관
모니터링 :
[과제 1] 모든 영역에서의 성폭력을 방지한다.
성과지표 1. 인구 10만 명당 성폭력 발생비
- 대전시의 2022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성폭력 발생비는 95.98건으로 2020년 이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음
- 대전시의 성폭력 발생비는 서울(112.43건) 다음으로 높으며, 전국(80.55건) 평균과 비교해서 다소 높은 편임

[과제 2] 정치·경제·공공영역에서 여성의 참여와 평등한 기회를 보장한다.
성과지표 1. 대전 지자체 소속 위원회 여성 비율
- 대전시 지자체 소속 위원회 여성비율은 2016년 39.7%에서 2022년 46.9%로 증가하는 추세
- 2022년을 기준으로 시도별 지자체 소속 위원회 여성비율에서 전국은 42.7%로 나타나며, 대전은 전국 평균에 비해 4.2%가 높고 이는 광역 자치단체 중 가장 높은 수치임

성과지표 2. 관리직 5급 이상 공무원 여성 비율
- 대전시의 관리직 5급 이상 공무원 여성 비율은 2016년 15%에서 2022년 30.2%로 이 기간 약 두 배가 상승하였음
- 시도별 관리직 5급 이상 공무원 여성 비율은 전국 평균 27.4%에 비해 대전은 이보다 3%가량 높으며 이는 평균에 비해 높음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로고
34837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121번길 44, 202호 (선화동, 창성빌딩)
전화042-256-2464~5
팩스042-256-2466
ⓒ2020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