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지속가능발전목표(D-SDGs)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
목표1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
목표2
건강하고 행복한 삶
목표3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
목표4
성평등 보장
목표5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목표6
애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목표7
좋은 일자리 확대와 경제성장
목표8
산업혁신과 사회기반시설 확충
목표9
모든 종류의 불평등 해소
목표10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목표11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목표12
기후변화 대응
목표13
해양생태계 보전
목표14
육상생태계 보전
목표15
인권·정의·평화
목표16
지구촌 협력확대
목표17
목표 03
건강한 삶 보장과 행복 증진
건강한 삶 보장과 행복 증진
추진과제성과지표지표산식기준값모니터링
결과
3-1정신건강을 증진하고, 약물 오남용을 예방한다.3-1-1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 자살률고의적 자해로인한 사망자 수 / 대전시 주민등록인구21.7명 (2022)
3-1-2GRDP 대비 중독통합관리지원사업 예산 비율중독통합관리지원사업 예산 / GRDP(지역총생산)0.0023% (2024)
3-1-3청소년의 우울감 경험률청소년 우울감 경험율(교육부, 청소년 건강행태조사)29.5% (2022)
3-2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 발생을 예방한다.3-2-1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 (교통사고분석시스템)3.47명 (2022)
3-3아동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한다.3-3-1영유아의 연령별 완전 접종률영유아의 연령시기별(1세,2세,3세,6세) 완전 접종률 (질병관리청,전국예방접종률현황)1세:97.3% 2세:93.5% 3세:89.5% 6세:91.2% (2023)
3-4저출생 극복과 고령인구의 건강 증진을 도모한다.3-4-1합계출산율대전시 합계출산율0.842명 (2022)
3-4-2치매안심센터 등록률센터등록 치매환자 수 / 전체 치매환자 수(추정)54% (2022)
3-4-3청년 지원사업 예산의 비율대전시 청년대상 지원사업 전체예산 / GRDP(지역총생산)0.3% (2022)
3-5공공의료의 확대와 응급환자 대응능력을 증대한다.3-5-1119 구급차 5분 내 도착 비율5분 이내 도착건수 / 119구급차 출동건수19.8% (2022)
3-5-2인구 1천 명당 공공병상 수공공병상 수 / 대전시 주민등록인구 수x1,0002개 (2022)
실천과제 :
마을 생활체육 프로그램 및 시설을 확대해야 합니다.
주민들의 정신건강 관리 프로그램 및 시설을 확대해야 합니다.
지역사례 :
건강반(민들레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목표 3을 달성하기 위한 실천사례를 추천해주세요.
협력해요 :
대전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대전광역시 장애인부모회, 민들레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등
목표 3을 달성하기 위한 단체·기관을 추천해주세요.
주관부서 :
대전광역시 질병관리과, 교통시설과, 균형발전과, 청년정책과, 구조구급과, 의료정책과
모니터링 :
[과제1] 정신건강을 증진하고 약물 오남용을 예방한다.
성과지표 1. 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 자살률
- 대전시 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2017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1년 26.5명으로 가장 높은 자살률을 기록하였으나, 2022년 21.7명으로 큰 폭으로 감소함
- 2022년 기준 17개 시도와 비교했을 때 대전시 자살률은 낮은 편이며, 7대 특광역시 중에서는 서울 다음으로 낮음. 다만, 전국 평균 자살률(21.2명)보다 높은 만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

성과지표 2. GRDP 대비 중독통합관리지원사업 예산 비율
- 2024년 중독통합관리지원사업 예산은 1,153,962천원
- 2024년 GRDP 대비 중독통합관리 및 관련 예산 비율은 0.0023%
- 2023년 중독자 재활서비스 건 수는 56,948건이며, 2021년에서 2023년까지 3년 간 181,703건의 재활서비스를 실시함. 이 중 홍보를 제외한 건수는 62,829건임

성과지표 3. 청소년의 우울감 경험률
- 대전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우울감 경험률은 2020년 25.7%, 2021년 26.5%, 2022년 29.5%로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음
- 2022년 기준 시도별 청소년의 우울감 경험률 대비, 대전시는 전국 평균 28.7%보다 높은 29.5%임. 광역시 중에서는 광주 29.8% 다음으로 높음

[과제2]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 발생을 예방한다.
성과지표 1.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
- 대전시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20년 4.4명에서 2021년 3.96명, 2022년 3.47명으로 지속 감소
- 향후에도 감소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특별한 관리·감독이 필요함

[과제3] 아동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한다.
성과지표 1. 영유아의 연령시기별 완전접종률
- 대전시의 연령집단별 완전 접종률은 1세 때 가장 높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완전 접종률은 떨어지는 경향을 보임
- 대전의 완전 접종률은 전국 평균에 비해 높은 편임

[과제 4] 저출생 극복과 고령인구의 건강 증진을 도모한다.
성과지표 1. 합계출산율
- 대전시의 합계출산율은 2020년 0.805, 2021년 0.81, 2022년 0.842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2022년 기준 대전의 합계출산율은 전국 합계출산율 0.778보다 높음
- 합계출산율이 지속해서 증가 추세이고, 다른 시도에 비해 높은 편이나 합계출산율이 1 미만인 초저출생인 상태
- 사망인구가 출생인구보다 많은 인구의 데드크로스 현상 경험

성과지표 2. 치매안심센터 등록률
- 전체 치매 노인 대비 등록률은 2021년 54.1%, 2022년 54.0%로 낮은 편
- 대전시의 치매 관리 및 지원을 위한 대표적인 조례로는 「대전광역시 치매관리 및 광역치매센터 설치·운영 조례」와「대전광역시 고령친화도시 구현을 위한 노인복지 기본 조례」가 있음

성과지표 3. GRDP 대비 청년 지원사업 예산 비율
- 2022년 기준 대전 전체 인구에서 청년인구의 비율은 29.4%
- 연도별 청년 인구 비율은 2012년 33.5%에서 2017년 31.5%, 2022년 29.4%로 지속 감소
- 전국 평균 및 특·광역시 대비 대전시의 청년인구 비율은 높은 편
- 2022년도 기준 대전시는 청년을 대상으로 73개 과제를 진행했으며, 총 예산은 153,674백만 원
- 전체 과제 중 일자리 관련 사업이 가장 많고, 교육 관련 사업이 가장 적음
- 청년을 대상으로 한 인식 조사와 대전시민 대상 FGI에서 청년의 정주여건 및 일자리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


[과제 5] 공공의료 확대와 응급환자 대응능력을 증대한다.
성과지표 1. 119 구급차 5분 내 도착 비율
- 대전시의 119구급차의 5분 내 도착 비율은 2020년 24%에서 2021년 18.5%로 크게 감소함. 2022년에는 소폭 증가하여 19.8%였으나, 다소 낮은 편

성과지표 2. 인구 1천 명당 공공병상 수
- 대전시 인구 1천 명당 공공병상 수는 2020년 2.1개, 2021년 2.1개, 2022년 2.0개로 큰 변화가 없음
- 공공의료는 지역사회의 의료 부담을 경감시키고, 핵심 의료 전달체계로 인구 당 공공 병상 수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로고
34837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121번길 44, 202호 (선화동, 창성빌딩)
전화042-256-2464~5
팩스042-256-2466
ⓒ2020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