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지속가능발전목표(D-SDGs)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
목표1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
목표2
건강하고 행복한 삶
목표3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
목표4
성평등 보장
목표5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목표6
애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목표7
좋은 일자리 확대와 경제성장
목표8
산업혁신과 사회기반시설 확충
목표9
모든 종류의 불평등 해소
목표10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목표11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목표12
기후변화 대응
목표13
해양생태계 보전
목표14
육상생태계 보전
목표15
인권·정의·평화
목표16
지구촌 협력확대
목표17
목표 16
포용적 제도 구축
포용적 제도 구축
추진과제성과지표지표산식기준값모니터링
결과
16-1모든 형태의 부패 및 뇌물 감소에 노력한다.16-1-1자지단체 (종합)청렴도 지수국민권익위원회에서 평가, 5등급으로 구분되는 청렴도 평가 지수 (숫자가 낮을수록 청렴도 높음)4등급 (2023)
16-2포용적이고 참여적이며 대표성 있는 의사결정을 추구한다.16-2-1시민정책 제안 수국민신문고로 제안받은 시민제안 접수 건 수447건 (2023)
16-2-2청소년참여위원회 정책 반영 수연간 대전광역시 청소년참여위원회 정책 반영 건수, 단순 계수5건 (2023)
실천과제 :
주차, 층간소음 등 마을의 일상적인 갈등을 예방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마을차원에서 학교폭력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양한 마을구성원들이 함께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 되어야 합니다
지역사례 :
갈등해결과 조정 진행자 역량강화 워크숍, 조정활동 & 서클대화(대전평화여성회)
평화기행(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목표 16을 달성하기 위한 실천사례를 추천해주세요.
협력해요 :
대전평화여성회, 대전충남인권연대,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등
목표 16을 달성하기 위한 단체·기관을 추천해주세요.
주관부서 :
대전광역시 감사위원회, 정책기획관, 여성가족청소년과
모니터링 :
과제 16-1. 모든 형태의 부패 및 뇌물 감소에 노력한다.
지표 16-1-1. 자지단체 (종합)청렴도 지수
- 국민권익위원회의 기관별 청렴도 평가 결과 2021년에 2등급을 받은 경험이 있으나, 이후 4등급으로 하락하였음
- 2023년 기준, 시도별 종합청렴도 지수의 평균은 3등급으로, 다른 시도와 비교했을 때 대전시는 청렴도 등급이 낮은 편에 속함

과제 16-2. 포용적이고 참여적이며 대표성 있는 의사결정을 추구한다.
지표 16-2-1. 시민정책 제안 수
- 국민신문고를 통해 제안받은 시민제안 건수는 2020년 349건에서 2023년 447건으로 증가하고 있음

지표 16-2-2. 청소년참여위원회 정책 반영 수
- 대전시 청소년참여위원회의 연간 정책 반영 건수는 2021년 2건에서 2023년 5건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헀음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로고
34837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121번길 44, 202호 (선화동, 창성빌딩)
전화042-256-2464~5
팩스042-256-2466
ⓒ2020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