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지속가능발전목표(D-SDGs)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
목표1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
목표2
건강하고 행복한 삶
목표3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
목표4
성평등 보장
목표5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목표6
애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목표7
좋은 일자리 확대와 경제성장
목표8
산업혁신과 사회기반시설 확충
목표9
모든 종류의 불평등 해소
목표10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목표11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목표12
기후변화 대응
목표13
해양생태계 보전
목표14
육상생태계 보전
목표15
인권·정의·평화
목표16
지구촌 협력확대
목표17
목표 11
안전하고 살기좋은 환경 조성
안전하고 살기좋은 환경 조성
추진과제성과지표지표산식기준값모니터링
결과
11-1공공주택을 공급하여 안정적 주거환경을 제공한다.11-1-1공공임대주택 공급호수 비율공공임대주택 공급호수 / 신규주택 공급호수18.6% (2021)
11-2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을 확대하고 교통약자를 배려한다.11-2-1대중교통 수송분담률철도(도시철도 포함)와 버스 통행량 / 전체 육상 교통수단 (도보 포함) 통행량15.3% (2022)
11-2-2저상버스 보급률운행중인 저상버스 대수 / 전체 시내버스 대수33.40% (2021)
11-2-3자전거 수단분담률자전거 통행량 / 전체교통수단별 통행량1.9% (2020)
11-3안전관리와 재난대응 능력을 증대한다.11-3-1전국 지역 안전지수행정안전부 「전국 지역안전지수」(6개분야) 대전시 분야별 평균치3등급 (2023
11-3-2재난 대응능력 강화 및 예방대책 추진율[(다중이용시설 매뉴얼 및 훈련내역 점검 실적 / 목표x100)*0.5] +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적 / 목표)*0.5]100% (2023)
11-4도시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요소를 감소시킨다.11-4-1연평균 초미세먼지 (PM2.5) 농도연평균 초미세먼지(PM2.5) 농도 측정치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보」)17㎍/㎥ (2022)
11-4-2폐기물 발생량연간 생활폐기물,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건설폐기물의 합계379만톤 (2021)
11-5편히 숨쉴 수 있는 공공녹지 공간을 증대한다.11-5-1도시공원 면적도시공원면적 / 대전시 전체인구14.0㎡ (2022)
11-5-2녹지율녹지지역 면적 / 도시행정구역 면적7.1% (2023)
11-6함께 살아가는 동물들에 대한 복지를 증진한다.11-6-1반려동물 및 유기동물의 복지와 보호를 위한 예산반려동물 및 유기동물의 복지와 보호를 위한 예산393,856천원 (2023)
실천과제 :
마을공동체 활동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도보 및 자전거로 편의시설(학교, 병원, 마트, 시장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안전하게 걸을 수 있도록 보행권을 강화해야 합니다.
가까운 거리 접근 가능한 도시 숲, 도시공원을 확대해야 합니다.
지역사례 :
대전지속가능마을대탐사
대전자전거출퇴근챌린지
대전시내버스시민모니터단
목표 11을 달성하기 위한 실천사례를 추천해주세요.
협력해요 :
대전시버스운송사업조합, 대전충남생명의숲, 대전충남녹색연합, 대전환경운동연합, 마을공동체포럼, 대전사회혁신센터 등
목표 11을 달성하기 위한 단체·기관을 추천해주세요.
주관부서 :
대전광역시 주택정책과, 버스정책과, 철도정책과, 보행자전거과, 안전정책과, 사회재난과, 대기환경과, 자원순환과, 공원수목과, 산림녹지정책과, 농생명정책과
모니터링 :
과제 11-1. 공공주택을 공급하여 안정적 주거환경을 제공한다
지표 11-1-1. 공공임대주택 공급호수 비율
- 2022년 기준 대전시의 신규 공급 주택 대비 공공임대주택 공급호수는 18.6%

과제 11-2.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을 확대하고 교통약자를 배려한다.
지표 11-2-1. 대중교통 수송분담률
- 대전시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은 2016년 17.7%에서 2020년 12.5%로 감소
- 2020년 기준 대전시의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은 12.5%로 수도권 외 부산(25.5%)과 대구(17.7%)에 비해 저조

지표 11-2-2. 저상버스 보급률
- 대전시의 저상버스 보급률은 2020년 31.3%에서 2021년 33.4%로 증가함
- 2021년 기준 대전시 저상버스 보급률(33.4%)은 전국 보급률(30.6%)보다 높으며, 서울(59.7%)과 대구(37.5%)를 제외한 타 광역시에 비해서도 높음

지표 11-2-3. 자전거 수단분담률
- 대전시의 자전거 수송분담률은 2016년 1.7%에서 2020년에 1.9%로 큰 변화가 나타나지는 않음
- 2020년 기준 대전시의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은 1.9%로 서울과 같은 수준이며, 인근 도시인 세종시(2.9%)에 비해서는 낮은 편임

과제 11-3. 안전관리와 재난대응 능력을 증대한다
지표 11-3-1. 전국 지역 안전지수
- 교통사고 2등급. 화재 4등급, 범죄 5등급, 생활안전 2등급, 자살 2등급(전년대비 등급 상승), 감염병 3등급
※ 등급은 광역 시/도, 기초 시/군/구 5개 그룹별로 1등급 10%, 2등급 25%, 3등급 30%, 4등급 25%, 5등급 10% 비율로 산정

지표 11-3-2. 재난 대응능력 강화 및 예방대책 추진율
- 2021년 91%, 2022년 100%, 2023년 100%

과제 11-4. 도시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요소를 감소시킨다
지표 11-4-1. 연평균 초미세먼지 (PM2.5) 농도
- 대전시의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2020년 18㎍/㎥을 기준으로 2022년 17㎍/㎥로 소폭 감소함
- 2022년 기준 대전시(17㎍/㎥)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전국 평균(17.9㎍/㎥)과 비슷한 수준임

지표 11-4-2. 폐기물 발생량
- 대전광역시의 연간 폐기물 발생량은 2020년 약 322만톤에서 2021년 379만톤으로 증가

과제 11-5. 편히 숨 쉴 수 있는 공공녹지 공간을 증대한다.
지표 11-5-1. 도시공원 면적
- 대전시의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은 2020년 13.3㎡/인에서 2022년 14.0㎡/인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함
- 2022년 기준 대전시의 1인당 도시공원 면적(14.0㎡/인)은 전국에(13.4㎡/인) 비해 양호한 수준

지표 11-5-2. 녹지율
- 대전시의 녹지율은 2020년 7.7%에서 2022년 6.5%로 감소하였다가, 2023년 7.1%로 소폭 증가

과제 11-6. 함께 살아가는 동물들에 대한 복지를 증진한다.
지표 11-6-1. 반려동물 및 유기동물의 복지와 보호를 위한 예산
- 반려동물과 유기동물의 복지 및 보호를 위한 예산의 규모가 다른 육상생태계,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한 예산과 비교하여 형평성과 실효성이 있는지 검토할 필요 있음
- 반려동물 놀이터 97,856천원, 길고양이 중성화 수술비 지원사업 60,000천원, 내장형 동물등록 지원사업 111,000천원, 사회적 약자 반려동물 의료비 지원사업 125,000천원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로고
34837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121번길 44, 202호 (선화동, 창성빌딩)
전화042-256-2464~5
팩스042-256-2466
ⓒ2020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