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지속가능발전목표(D-SDGs)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
목표1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
목표2
건강하고 행복한 삶
목표3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
목표4
성평등 보장
목표5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목표6
애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목표7
좋은 일자리 확대와 경제성장
목표8
산업혁신과 사회기반시설 확충
목표9
모든 종류의 불평등 해소
목표10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목표11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목표12
기후변화 대응
목표13
해양생태계 보전
목표14
육상생태계 보전
목표15
인권·정의·평화
목표16
지구촌 협력확대
목표17
목표 10
경제적 불평등 감소 노력
경제적 불평등 감소 노력
추진과제성과지표지표산식기준값모니터링
결과
10-1성별, 장애 등과 관계없이 경제적 형평성을 추구한다.10-1-1장애인 고용률만15세 이상 장애인 취업자 / 만15세 이상 장애인 인구28.1% (2023년 하반기)
10-1-2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율(장애인 평생교육 참여인원 / 목표인원 x 100 x 0.7) + (만족도 평균x0.3)98.4% (2022)
10-1-3여성의 경제활동인구 비율만15세 이상 여성 경제활동인구/ 만15세 이상 여성인구54.2% (2023)
10-1-4공무원 양성평등 채용 비율비율이 적은 성별 채용인원 / 전체 채용인원39.1%(2023)
실천과제 :
무장애도로를 확대해야 합니다.
지역사례 :
교통약자 이동편의를 위한 대중교통 모니터링
목표 10을 달성하기 위한 실천사례를 추천해주세요.
협력해요 :
사)토닥토닥, 대전여성장애인연대, (사)대전장애인단체총연합회 등
목표 10을 달성하기 위한 단체·기관을 추천해주세요.
주관부서 :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여성가족청소년과, 인사혁신담당관
모니터링 :
과제 10-1. 성별, 장애 등과 관계없이 경제적 형평성을 추구한다.
지표 10-1-1. 장애인 고용률
- 대전시의 장애인 고용률은 2020년에서 42.0%에서 2022년 29.3%로 지속 감소
- 2023년 기준 전국 장애인 고용률은 36.1%로 평균에 약간 못 미침

지표 10-1-2. 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율
- 2023년 기준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는 371명, 그 중 여성 참여자는 248명, 남성 참여자는 123명이며
- 참여자의 교육 만족도는 27.7점이고,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지표값은 2021년 93%에서 2022년 98.4%으로 상승함

지표 10-1-3. 여성의 경제활동인구 비율
- 대전시의 여성 경제활동 참여율은 2020년 53.1%에서 2022년 52.8%로 3년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함
- 2023년 기준 전국 여성 경제활동 참여율은 55.7%로 대전시(54.2%)는 평균에 다소 못 미침

지표 10-1-4. 공무원 양성평등 채용
- 대전시 공무원의 양성평등 실적은 2021년 40.5%에서 2023년 39.1%로 등락을 거쳐 감소하였음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로고
34837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121번길 44, 202호 (선화동, 창성빌딩)
전화042-256-2464~5
팩스042-256-2466
ⓒ2020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