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대전SDGs 정책포럼
2024-12-30


제4차 대전SDGs 정책포럼



일 시 : 2024. 12. 30.(월) 14:00∼16:00 (안)

장 소 : 대전광역시의회 3층 소통실

참 석 : 대전시민, 의회, 행정, 전문가 등 34

주 제 : 대전시 도시성장과 지역내 격차극복을 위한 포용도시 정책포럼

주 최 : 대전광역시의회

주 관 : 대전광역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도시·문화·공동체·협력위원회



◾개회식 [사회자] 김민수 위원장(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도시·문화·동동체·협력위원회)
1) 인사말 : 김선광 의원(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유병로 상임회장(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2) 축   사 : 조원휘 의장(대전광역시의회)


[좌장] 김선광 위원 (산업건설위원회)


◾발 제
1) 대전시 도시성장과 지역내 격차극복을 위한 포용도시 과제 - 이상희 교수 (목원대학교산학협혁단)
2) 대전지역의 인구구조 변동 및 빈곤층 거주지 분리 현상 특성 - - 박두진 연구원 (충남대학교사회학과)

◾토 론
1) 김상민 교수(충남대학교 도시자치융합학과)
2) 이정림 박사(충남대학교 학술연구교수)
3) 염인섭 실장(대전세종연구원 공간환경연구원)
4) 한근희 과장(대전광역시 도시재생과)


주요결과
- 포용도시 개념과 접근 방법
포용도시는 공간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접근 가능하며, 공공 서비스 접근성, 인프라 확 충, 정보 격차 해소 등이 논의의 중심임
스마트시티와 같은 기술적 접근도 중요하지만, 정보 접근성 격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함

- 동서 격차와 인구 유출 문제
대전의 동서 간 격차가 주로 경제적, 사회적 요인에서 비롯되며, 젊은 층의 수도권 유출과 고 령층의 잔존이 문제로 제기됨
동구 등 특정 지역의 빈곤율 상승과 소득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이 요구됨

- 정책 방향과 실행 방안
청년 유입 정책뿐만 아니라, 지역 거주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정책의 중요성이 논의됨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재생 사업, 사회적 혼합(Social Mix), 직업군의 특성화 등이 해결 방안 으로 제시됨

- 기반시설과 거버넌스
도시 기반시설의 노후화 및 재정비 필요성과 함께, 시민 요구를 반영한 정책 수립 및 실행 시 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됨
도시 내 자원 및 인프라의 연계와 통합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어야 함

- 사례 및 미래 비전
일본의 도쿠시마현 카미야마 같은 사례를 통해 쇠퇴하는 도시에서도 새로운 경쟁력을 발굴할 가능성이 논의되었고 대전시의 트램 도입과 역세권 개발이 포용 도시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 으로 언급됨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로고
34837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121번길 44, 202호 (선화동, 창성빌딩)
전화042-256-2464~5
팩스042-256-2466
ⓒ2020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All Rights Reserved